용산 대통령실 청사 전경. (뉴스1 DB) 2023.3.6/뉴스1
용산 대통령실 청사 전경. (뉴스1 DB) 2023.3.6/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이르면 4일 중폭 이상 규모로 개각을 단행한다. 내년 총선과 맞물려 진행되는 이번 인사를 통해 내각을 정비하고 집권 3년 차를 맞을 채비를 갖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조직 개편 뒤 개각 작업까지 진행되면서 정국이 새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개각 대상과 범위를 두고 막판 검토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주말에도 윤 대통령은 개각을 준비하면서 향후 국정 운영을 구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개각 시점과 폭에 관해 계속 검토가 진행되고 있어 구체적으로 언급이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이날을 포함해 주 초반이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개각 규모는 내년 4월 총선 출마 희망자를 감안할 때 중폭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당장 기재·국토·보훈부 장관만 해도 총선 출마 가능성이 큰 곳으로 꼽힌다. 여기에 중기·해수·농림·과기·산업·고용·법무부까지 개각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10개 안팎으로까지 교체 폭이 커질 수 있다는 예상에 힘이 실린다.

지금까지 윤 대통령 인사 스타일을 보면 국면 전환용 인위적 개각을 지양하면서 필요에 따라 적재적소에 인사를 내는 것이 특징이었다. 시계를 거꾸로 되돌리면 지난 8월에는 산업부 장관과 국무조정실장이 바뀌었으며, 앞선 6월에는 통일부 장관이 교체되는 등 '원 포인트 인사'가 주를 이뤘다.

하지만 지금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교체 수요가 어느 때보다 많아졌다는 점에서 윤 대통령 의도와 상관없이 중폭 이상 개각이 불가피해졌다. 한편으로는 최근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에 실패하면서 윤 대통령 리더십에 큰 상처가 생긴 터라 개각이 쇄신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현재로서는 후임 장관 후보군으로 교수, 관료 출신이나 해당 분야 전문가가 거론되고 있는 점이 또 다른 특징이다. 집권 초기 정치인 장관을 투입해 새 정부 국정철학을 이식하고 문재인 정부 때 추진된 정책을 정리하는 절차를 밟았다면, 임기 중반에 접어드는 현 시점에는 결과물을 만들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새 기재부 장관으로는 최근 대통령실을 떠난 최상목 전 경제수석으로 굳어지는 모습이다. 국토부에는 심교언 국토연구원장, 박상우 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거론되고 있으며, 보훈부에는 김석호 서울대 교수, 김정수 전 육군사관학교장 등이 물망에 올랐다.

아울러 해수부에는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송상근 전 해수부 차관이 언급되며, 중기부에는 유병준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에 더해 민병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이 최근 부상했다. 과기부에는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유니스트) 총장, 유지상 전 광운대 총장이 후보군으로 분류된다. 유 전 총장은 대통령실에 신설될 초대 과학기술수석으로도 고려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기재부와 법무부 등은 내년도 예산안이나 주요 현안을 지금 장관이 모두 매듭지은 다음 바뀔 수 있어 개각이 2차례 이상에 걸쳐 순차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당초 유임으로 가는 듯했던 박진 외교부 장관도 엑스포 유치 실패로 개각 대상에 포함될지가 관심사다.

이 밖에도 금융위원장, 국가정보원장, 방송통신위원장 등도 교체되거나 새로 임명될 필요가 있어 후임 인선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뉴스1>

 

저작권자 © SPN 서울평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