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원 개원 18주년 기념식(사진=통일부)

북한이탈주민들의 상당수가 북한에서의 생활과 탈북 과정에서 겪은 인권침해로 트라우마, 우울증, 자살 충동의 고통을 겪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8일 국립중앙의료원 연구진이 국가인권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300명에 대한 설문 자료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한 '북한이탈주민 인권피해 트라우마 실태조사'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뉴스1이 전했다.

그러면서 북한이탈 주민들의 심각한 인권침해를 경험한 것에 대한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도 휴유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인권침해 경험을 보면 300명의 조사 대상 중 247명(82.33%)이 공개적인 자아비판을 경험했으며 188명(62.67%)은 심한 굶주림과 질병을 직접 겪어야 했다.

또 이중 65명은 인신매매를 직접 경험했으며 22명(여성 중 9.0%)은 여성에 대한 성폭력의 대상이 됐다고 밝혔다.

연구진들이 이들의 심리상태를 분석한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체크리스트 검사에서 '주의 요망' 수준인 33점을 넘은 사람이 168명(56.00%)로 나타났다.

우울증과 관련된 검사에서도 57명(19.00%)이 경도 우울, 96명(32.00%)이 중등도 우울, 85명(28.33%)이 고도 우울 증세를 보였다. 특히 자살 경향성 조사에서 70명이(23.33%) '높은 자살 위험성'을 가진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연구의 특성상 (결과를) 일반화할 수는 없다는 제한 점이 있다"면서도 "북한이탈주민은 북한과 탈북기간의 인권침해 트라우마 경험이 높으며 그러한 경험들은 PTSD 등 정신건강 문제 수준을 유의하게 높이고 삶의 질을 의미 있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해석했다.

이어 연구진은 이런 현실에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심리적 지원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현재 하나원에서 정신건강 초기 평가와 상담진료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으며 정착지원제도 내에서 의료비 지원이 이뤄지고 있지만, 연구진은 "단순한 의료비 지원만으로는 건강의료보험 및 의료급여 체계에서 심각한 PTSD를 치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트라우마 치료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평가했다.

이에 연구진은 의료기관 기반 북한이탈주민 트라우마치료 센터 구축과 북한이탈주민 의료상담실의 의료기관 위탁, 유입경로·성별·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체계 마련 정착지원법 개정 등을 정책 개선 안으로 내놓았다.@

저작권자 © SPN 서울평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