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총비서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사진=크렘린궁)
김정은 북한 총비서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사진=크렘린궁)

북한은 "러시아에 무기나 탄약을 수출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라며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설'을 부인하고 나섰다.

이러한 북한의 반응에는 '북중러 연대' 구도가 굳어지는 데 대한 부담이 작용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북한이 '무기 거래설'을 부인하는 담화를 발표한 배경에 대해 "가장 큰 이유는 아마 북한도 현재 세계적인 전략 경쟁 구도가 북중러 연대 형태로 비치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점일 것"이라고 말했다.

차 수석연구원은 "이는 사실상 앞으로도 제재를 버티는 한편, 미북 협상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라며 "북한 역시 중국, 러시아와 같은 진영으로 묶이는 것이 꼭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7차 핵실험 유보에서도 나타났지만 북한 역시 한반도 상황을 극단적 긴장으로 몰아가기에는 부담이 있고, 미국 중간선거 이후의 미북 협상 국면을 기대한다는 점도 암시된다"라고 덧붙였다.

차 수석연구원은 또 "북한은 대외적으로 자신들의 핵무기는 '자위용'이라고 주장해왔고, 공세적 핵교리 채택을 암시한 '핵무력 사용' 법령에서도 핵무기나 기술의 외부 이전을 하지 않는다고 공언했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재래무기가 일상으로 반출될 수 있다면 대량살상무기 확산이 없다는 말의 신뢰성도 떨어진다. 이는 북한의 대외 신인도를 떨어뜨리는 결과가 된다"라며 "(무기 거래설을 부인한) 북한의 말을 신뢰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타당성이 존재한다"라고 말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러시아의 입장을 정치적으로 지지할 수는 있어도 군사적으로 지원하는 행동은 매우 위험하다는 인식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미국이 의도적으로 북한의 무기 거래 가능성을 유포해 사전에 북한의 무기 거래를 차단하는 효과를 노리면서 실제 무기 거래가 이뤄진 경우 자신들을 향한 군사적 행동을 정당화할 수 있는 명분을 만들려는 것이라는 강한 불신이 존재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제난, 외화난에 시달리면서 주권국가로서 군사장비를 수출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나, 적어도 미국의 의도에 말려들지 않겠다는 것이 북한의 계산"이라고 부연했다.

임 교수는 "북한이 중국, 러시아와의 전략적 연대를 강화하고 있지만 인민들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을 받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정권 유지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외국에서 일어난 군사적 충돌, 분쟁에 연루될 수 있는 어떤 조치나 행동을 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라고 내다봤다.

한편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이번 담화에 대해 "유엔총회 기간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의 문제점을 부각시키려는 의도"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SPN 서울평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