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위원장의 생일인 1월 8일 기점으로 우주발사체 발사로 도발 나설 가능성"

김정은 위원장이 군 간부들과 백두산전적지를 돌아보는 모습 (사진=조선중앙통신)

미국의 전문가들은 북한이 정한 연말 시한이 다가오는 가운데, 북미 간 물밑 대화 등 진전 조짐은 없어 보인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전까지는 현 상황에 안주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조셉 디트라니 전 6자회담 차석대표는 “2019년 마지막 달에 들어섰지만 미국과 북한은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고 VOA에 말했다.

디트라니 전 차석대표는 “북한이 제시한 ‘연말 시한’을 앞두고 북미 간 물밑 접촉이 이뤄지고 있다면 북한이 미국을 모욕하는 신랄한 내용의 담화를 발표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미국의 대통령이 직접 대북 외교에 나서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약속대로 조속히 실무회담에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는 ‘북미 간 진전 조짐을 찾아 보기 어렵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문제에 있어) 아무 것도 하고 싶어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과 그의 지지자들이 북한 문제를 해결했다고 보고, 적어도 내년 대선까지는 북한이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실험에 나서지 않는 현 수준을 유지하길 바라는 만큼, 더 이상의 진전이 필요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북한이 제시한 연말 시한 안에 북미 실무 협상이 재개되는 등 큰 움직임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로버트 갈루치 전 국무부 북 핵 특사도 “올해 안에 돌파구가 마련되기는 어렵다”며, “북한과의 정상회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심도가 이전보다 줄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연말을 기점으로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이어진다면 북한의 도발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며, “이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현실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스티븐 노퍼 코리아 소사이어티 선임연구원은 “연내 북미 간 만남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북한은 김정은 위원장의 생일인 1월 8일을 기점으로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는 많은 전문가들이 추정하는 우주발사체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퍼 연구원은 “북한이 제시한 연말 시한 이후에도 협상을 위해 평화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북미 간 긴장 고조 가능성에 대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힐 전 차관보는 “북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과 중국 등 역내 아시아 나라들과의 공조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주한미군 분담금 문제 등으로 동맹인 미국과 한국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SPN 서울평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