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9월24일 촬영된 함박도 위성사진. 섬 곳곳에 군사시설이 들어선 모습이 관측된다(사진=Planet Labs Inc)

서해 북방한계선(NLL)에 위치한 섬 함박도에 세워진 북한의 군사시설들이 2017년 중순부터 올해까지 지속적으로 건설돼 온 정황이 미국의 민간위성에 포착됐다.

일일 단위로 위성사진을 보여주는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지난 3년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함박도에는 2017년 6월까지만 해도 공사 흔적으로 해석될 만한 징후는 보이지 않았다고 VOA가 전했다.

그러나 약 한 달 후인 7월 20일자 위성사진에선 굴착 작업이 이뤄진 듯 숲으로 뒤덮인 섬 가운데와 동쪽 부근에 흙으로 된 바닥이 드러났고, 8월26일엔 섬 중간과 동쪽은 물론 섬 북쪽 부근에도 뚜렷한 굴착 흔적이 나타났다.

지난달 한국 언론 등에 공개된 함박도의 원거리 사진을 보면 섬 북쪽에는 2~3층 높이의 건물 3~4개 동이 들어섰고, 섬 한 가운데에는 타워형으로 된 건물과 함께 철제 구조물이 세워져 있다.

사진에 나타난 건물들은 2018년 1월까지만 해도 위성사진에선 찾아볼 수 없었지만, 2018년 2월 6일자 위성사진에 처음으로 섬 북쪽에 건물 형태가 희미하게 포착됐다.

이어 다음달인 2018년 3월16일, 건물은 좀 더 명확한 형태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고, 약 4개월 뒤인 7월29일자 위성사진엔 북쪽 건물이 위치한 곳이 좀 더 확장된 모습을 보였다.

2018년 남북한은 대화를 재개하고, 미국과 북한은 1차 정상회담을 개최했지만 여전히 함박도에서는 공사가 계속됐다는 의미이다.

앞서 미국의 군사 전문가들은 VOA에 함박도에 들어선 북한 군 시설이 미국의 방어 전략에 영향을 준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한 결과 함박도는 가까운 한국 섬인 말도와의 거리가 불과 8.2km였고, 또 서해 연평 우도에서 8.5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었다. 또 인천공항은 약 45km 거리였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섬 중앙 부근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한 타워형 건물, 즉 감시초소에 대해선 남북 군사합의가 맺어진 2018년 9월 이후에도 계속 공사를 한 것으로 분석됐다.

위성사진의 화질이 낮아 정확한 분석은 어렵지만, 2018년 7월 위성사진에는 현재 감시초소가 들어선 자리에 작은 굴착 흔적만이 포착됐다.

이 같은 모습은 구글어스를 통해 공개된 2018년 7월자 고해상도 위성사진에서도 확인되는데, 이 사진에는 감시초소가 있어야 할 지점에 검정색 물체가 자리하고 있다.

이어 플래닛 랩스의 같은 해 9월12일자 위성사진은 감시초소가 위치한 지점이 두 달 전보다 더 넓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건물로 볼 만한 흔적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사실상 남북 군사합의가 맺어진 9월19일 이후에 감시초소가 완공됐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위성사진 분석 전문가인 닉 한센 스탠포드대학 국제안보협력센터 객원연구원은 4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이 같은 분석에 동의했다.

한센 연구원은 “감시초소와 레이더 타워는 2018년에도 계속 건설 중이었고, 완공된 모습은 최근 공개된 2019년 사진에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일부 부지에 대한 굴착 작업도 계속돼 온 것으로 보인다며, 여기에 또 다른 대형 건물이 세워질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한센 연구원은 말했다.

종합해 보면 함박도에서 최초 굴착 작업이 시작된 시점은 2017년 7월이었고, 약 1년 뒤인 2018년 7월 북쪽 지역의 건물들이 완성됐다.

그리고 타워형 감시초소가 완공된 시점은 2018년 9월에서 올해 중순 사이인 것으로 추정된다.@

 

 

저작권자 © SPN 서울평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